이전 청년희망적금 포스팅에서 선납이연에 관해 이야기했었고, 최근 들어 은행 금리가 높아지면서 예금 적금에도 많은 관심을 두고 계실 겁니다. 예적금을 운용하며 도움이 될 수 있는 선납이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선납이연을 알기 전에는 적금과 예금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아야겠습니다.
적금과 예금
먼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적금과 예금이 있고 적금에는 정기 적금과 자유적금이 있습니다.
예금은 최초개설에 1회 입금을 해놓고 정해진기간동안 그대로 보관하였다 만기에 이자를 받는 것이고, 적금이란 정해진 기간 동안에 배달 1번 정해진 날자에 정해진 금액을 입금해 만기에 매달이 자를 합쳐 받는 것입니다.
적금에는 정기 적금과 자유적금이 있습니다. 저희는 정기적금에 대해만 다뤄볼게요. 정기적금은 정해진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넣는 것이고 이자의 금액도 정해져 있습니다. 정해진 날짜보다 빨리 입금한다고 이자를 더 받는 것이 아니죠 단, 늦게 입금을 하게 되면 만기 날자가 밀리거나 이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선납이연' 방식이란?
'선납'이란 정해진 날짜보다 일찍 납입하는 것
'이연'이란 정해진 날짜보다 늦게 납입하는 것
앞서 이야기한 듯 정해진 날짜보다 일찍 납입한 만큼 늦게 납입을 하면 만기일과 이자가 바뀌지 않겠죠?
이방식을 선납이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적금 약관에 따라 선납일 수 = 이연일수 또는 선납일수 > 이연일 수이라면 만기일이 연기되지 않고 약정이자를 모두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간단히는 총적금에 금액해야 하는 금액을 나눠서 일부는 선납을 하고 다른 일부는 단기 예금상품에 가입해 두었다가 그 상품이 만기가 되면 적금에 이연하여서 적금의 이자 + 단기예금 이자 를 함께 챙기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보면 12개월짜리 만기적금에 가입을 했습니다! 가입을 한 첫 달에 6개월치를 입금을 했고 5개월치 단기예금을 적금 6개월치 금액을 가입했어요. 그 후 입금을 하지 않다가 정기적금 7회 차에 1회분을 입금합니다. 그러던 중 단기예금이 만기가 되어 이자 + 5개월치 적금비용을 수령했고, 마지막달이 되어서 입금하지 않았던 나머지 5개월치 비용을 입금하고
만기가 되어 12개월 실입금금액+이자를 수령했지요
이렇게 되면 정기적금의 이자와 단기예금 이자를 모두 챙길 수 있지요? 이 방법을 '6-1-5' 방법이라 해요
'1-11'이라고 첫 달에 1개월치를 넣고 7개월 차에 11개월치를 넣는 방법도 있답니다.
방식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모두 선납이연이라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든 정기적금에 가능할까?
선납이연이 가능한 적금은 따로 있습니다. 모두 되는 건 아니라는 이야기죠. 선납이연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적금 상품의 적립식 예금약관을 확인해보아야 하는데요. 선납일 수(+)와 지연일 수(-)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은 대부분 적금에서 가능하지만 어떤 적금은 마지막 달은 납입금액이 정해져 있거나 한 달 납입금액이 정해져 있다거나 하지 않는지 확인해 주셔야 하고요. 대부분은 선납일 수보다 지연일 수가 크지 않게 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하루 단위로 계산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연일 수가 커지면 약정이자보다 낮은 이자를 받거나, 만기일이 미뤄지게 되어요
선납이연을 이용하면 가지고 있는 목돈보다 더 많은 자금을 적금에 가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운용만 잘하신다면 이자의 1.5배~2배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인터넷에 검색하시면 선납이연 계산기도 있더라고요.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셔서 좋은 계획을 만들어 보시기를 바랍니다.
선납이연은 정기적금에서! 적립식 예금약관 확인하기! 날짜계산에 주의하기!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희망적금 100%로 활용하기 - 2월 자동이체 해지하기 (0) | 2023.01.04 |
---|
댓글